요새 본업에 시간을 많이 못써서 그렇지 불과 2년 전까지만 해도 열심히 사는 인생이었다. 👨🏫👨🏫
2020년도 아산병원🏥 재직 당시 공부를 하고 싶어 덜컥 대학원에 입학하게 되었다. 2년간 열심히 일과 병행하며 학업에 열중하였고,🧐🧐 졸업을 위해 논문을 써야 했다.
크로스핏을 한지 꽤 되었고 나름 열심히 했기에 크로스핏과 관련된 논문을 쓰고 싶었다.🏋️🏋️ 그때 당시 한창 크로스핏을 병행하며 ZONE2운동이 유행이었다(크로스핏의 히어로 멧 프레이저 형이 즐겨 하는 유산소 운동).
ZONE2는 유산소 구역이다. ZONE1~ZONE5까지 5구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심박수에 따라 나누어져 있다. ZONE2 구간은 HRmax 60-70% 구간을 말한다. 즉, 2~3시간 정도 유지할 수 있는 저강도 유산소성 운동 구간을 말한다. 개인적으로 해봤을 때 유산소 운동을 하며 옆 사람과 말할 정도의 수준인 거 같다.
본론으로 돌아오자면 이런 저강도 유산소 운동을 직접 실험해 보고 싶어 논문 주제로 잡았고 박스 사람들을 대상으로 8주간 크로스핏과 ZONE2 훈련을 병행하여 실험하였다.
논문 주제를 정하고 ZONE2운동의 효과를 여러 가지 찾아보았다.
실험 검증을 위해 INbody770 기계를 이용하여 체구성, concept2 row ergometer를 이용해서 VO2max 측정, 운동수행능력 평가를 위해 크로스핏 WOD(WorkOutDay)인 Fran을 측정하였다.
총 20명을 모집하여 10명/10명 나눠 실험하였다. 지원자가 너무 몰리지 않아 여러 상품을 뿌렸다.... 이때 지원자 안 모일까 걱정했었는데 ㅠㅠ 참가해 주신 크로스핏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운동전 사전 검사, 운동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 방법 설정할 때도 two-way anova로 할지 two-way repeated anova로 해야 하는지 고민했던 게 아직도 기억이 생생...ㅠㅠ 통계는 너무 어렵다... 😢😢
체구성과 운동 수행력 그리고 심폐지구력 모두 두 그룹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골격근량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크로스핏만 한 그룹에서 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항상 아쉬운 부분은 짧은 실험 기간인 거 같다. 적어도 6개월 지켜봤으면 효과가 더 크게 보였을 것 같은데 더 큰 효과를 보지 못해 아쉬운 것 같다.
현장에 있는 분들 혹은 강단에 계신 교수님들 모든 분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하다 같은 학생 때 쓴 논문은 졸업하고 쳐다도 보지 않는다고 하신다. 그 말에 적극 공감한다. 내 석사 논문 또한... 지금 보니 미흡한 점이 너무 많은 것 같다.
추후에 박사를 할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앞으로 논문 쓸 일이 있을듯하니 더 나은 논문을 쓰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 같다. (근데 내가 쓴 논문 나름 KCI 등재됨 ^^*)
https://www.youtube.com/watch?v=3v_blcuzJtU
핏터들이여 모두 ZONE2로 ㅈㄴ 강해지자!!!
'스포츠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생리학] 근육생성의 핵심, 단백질 먹는법 (0) | 2025.02.27 |
---|---|
[운동생리학] 웨이트 운동 후 근육이 커지는 과학적 원리, 이렇게 일어난다! (0) | 2025.02.25 |
[ 피트니스] 나에게 맞는 좋은 트레이너 고르기. (10) | 2025.02.19 |
[ 트레이너] 첫 커리어의 시작 (국가대표팀 트레이너) (4) | 2025.02.07 |
[피트니스] 2025년 피트니스 트렌드를 알아보자(ACSM) (4)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