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포츠의학 3

[스포츠과학] 이젠 스포츠의학도 AI가 주도한다.

왜 지금 스포츠 의학에 AI인가?"15분 진료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선택2030년까지 전 세계 스포츠 인구 50% 증가 예상 vs 정형외과 전문의 수는 10% 증가에 그칠 전망기존 방식의 문제점:진단 오류율 12~15% (특히 초년차 의사 기준)수술 후 재발률 25~30% (ACL 재건술 기준)재활 프로그램 표준화의 어려움▶ AI/ML이 제시하는 해결책: 빅데이터 + 개인 맞춤 알고리즘 AI가 이미 바꾼 3가지 현실 (2024 최신 동향)1. [진단] MRI 판독의 새로운 표준어떻게? 딥러닝이 0.1mm 단위 미세 손상 탐지결과:ACL 파열 감지 정확도 98% (의사 평균 92%)판독 시간 3초 (기존 35초) → "1초에 20장 처리"현장 적용: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2023년 8월 도입2. [수술..

스포츠의학 2025.04.03

[재활] Soft Tissue Healing Process

스포츠 재활, 체형교정, 운동치료 등등 재활과 관련된 단어들이 무자비하게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병원이 아닌 오히려 피트니스센터에서 더더욱 많이 나오고 있다. 일반 퍼스널 트레이너들이 알아야 할, 아니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재활의 기초가 무엇일까? 스트레칭? 운동? 아니다. 손상당했던 조직이 어떻게 회복하는지, 어떤 과정으로 회복이 되는지, 회복을 한다면 운동은 언제 들어가면 되는지 이게 기본이다. 그렇다면 조직은 뭐가 있을까?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딱딱한 조직인 Hard Tissue와 부드러운 조직인 Soft Tissue 그중 우리는 Soft Tissue의 Healing Process에 대해 기본적으로 알 필요가 있다.​Hard Tissue: 석회화 조직을 이야기함. 주로 ..

스포츠의학 2025.03.26

[ 트레이너] 첫 커리어의 시작 (국가대표팀 트레이너)

스포츠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 알듯이 지금 하얼빈에서는 동계 아시안게임이 한창이다.우리나라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던 적이 있었다. 그건 바로 2018평창 올림픽. 이때 만든 시설과 인프라를 이용해서 각종 세계대회를 강원도에서 유치하고 있다. 동계 아시안게임을 보고 있자니 오래간만에 옛 생각이 나서 몇 자 적어보려고 한다. 나의 첫 커리어의 시작, 지금의 필자를 만들어낸 그때 그 경험을 적어보려고 한다.    사실 우리나라는 동계스포츠 강국이 되기엔 시설과 인프라가 부족하다.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말곤 모두 비인기 스포츠라 할 수 있다. 비인기 스포츠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선수들이 느낄 실망감은 누구보다 크다는 걸 현장에서 봐서 잘 알고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마치..

스포츠의학 2025.02.07
728x90
반응형